노트(211)
-
[참조사이트] 인포그래픽 참고 사이트 모음
인포그래픽 자료공유 비쥬얼리 > Visual.ly 쿨인포그래픽스 > Coolinfographics.com 인포그래픽랩스 > Infographiclabs.com 인포그래픽 제작(영문) 차틀 > chartle.net 다이어그램리 > diagram.ly 인포그램 > infogr.am 픽토차트 > magic.piktochart.com 구글 차트 툴 > developers.google.com/chart 홀리 > charts.hohli.com 인포그래픽 제작(한국어지원) 폴신 > paulshin.ca/cloudizer 워드잇아웃 > worditout.com 워들 > wordle.net 브레인 스토밍 도구 Bubble.us
2020.10.06 -
[인프라 솔루션] Azure 관리 모델
Azure Management models Classic으로 붙은 서비스는 구버젼 서비스, Classic based => ARM based 전환 Azure Resource Manager (ARM) = 마이크로서비스 : 서비스를 하나씩 분리시켜놓음. - ARM은 Resource Group 단위로 관리 - tagging기능이 있어, 각각 resurce group에 high라고 태그된 디스크만 출력되도록 할 수 있음 ex) #High, #인사부, 로 tagging 가능 Classic에는 Tagging기능 x - github에 있는 탬플릿 기반으로 배포. - Full RBAC을 제공 Azure의 각각의 룰이 있음 https://azure.microsoft.com/en-us/resources/templates/ ..
2020.10.06 -
[네트워크] NAT ( Network Address Translation)
NAT (Network Address Translation) : 사설 IP가 인터넷 망을 사용하기 위해서 패킷의 Source Address를 공인 IP Address로 변환해서 인터넷망으로 내보내야 함. 사설IP - 사내 내부망에서 사용 공인IP - 인터넷망에서 사용 IP Address = Network Address(ID) + Host Address(ID) 으로 구성. Network address / Host address 식별자 : Subnet Mask Network Address : 우편번호 **시 **구 **동 ISP (Internet Service Provider ex) SKT KT LG) 에서 Network ID를 부여함 IANA : 인터넷 관리 국제 협회 에서 ISP들이 사용할 다량의 공인 ..
2020.10.06 -
[네트워크] 네트워크 기초
Network 기본 Switch : 컴퓨터를 연결하는 장치 : 포트 多 Hub : 사용X 포트 : 컴퓨터의 램케이블과 스위치케이블이 포트를 통해서 연결되어있음 Router : 라우터장비와 스위치장비가 연결 : 포트 少 - =gateway 회사 네트워크에서 외부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해 라우터장치를 반드시 거치게 되있음. - Gateway를 통해야 인터넷 망으로 데이터를 보낼 수 있음. - 1번 IP 254번 IP를 일반적으로 gateway IP에 넣음. (관리자가 넣기나름) 네트워크의 정의 : 컴퓨터를 연결하는 것 -Client : 서비스를 요청하는 쪽(Request) -Server : 서비스를 응답하는 쪽(Response) Peer to Peer : 클라이언트도 되었다가 서버도 되는 연결을..
2020.10.06 -
5강 | 혁신은 주먹구구식이 아니라 전략이다.
3. Technological Innovation Management * ESS (에너지 저장 시스템) Pracitce를 통한 학습 - 기술전략 유도 과정 Emerging Technology에 대한 기술선정 위주로 과정을 재배치 1) 정보 수집 - 거시적 환경인자 분석 (Osterwalder) - 마켓 다이나믹스 2) 기회 분석(비즈니스 모델 Gap분석) - 비즈니스 모델 * 시나리오 계획법 * 가치사슬 재구성 - 비즈니스 모델 프레임 워크 3) 목표설정 - ESS 기술 고려사항 저장 용량/ 투자비용 / 장소제약/ 수명/ 용도/ 저장시간/ 기술수준/ 등등 - ESS 기술 관찰 프레임 워크 내부 통제 가능 vs 내부통제 불가능 기술 의존요소 vs 비기술 요소 4) Gap 분석(기술적 Gap분석) - 기존과..
2020.07.21 -
4강 | 기술혁신 : 혁신역량이 기업의 생존을 결정한다
1. Why the Technological Innovation is important ? * 기업들의 생존률이 지속적으로 하락함 * 신제품 - 신사업의 중요성 : 신제품이 차지하는 비용은 평균 14%로 기업의 연간 매출에 기여한 비용이 38%를 차지 기술혁신 역량이 기업의 사업 방향또한 바꿀 수 있다. * 기술혁신이란? 공장, 시장, 재료, 조직 등 생산수단의 새로운 결합을 통하여 신제품이나 서비스를 생산, 마케팅, 판매하는 일련의 현상. * 기술혁신의 중요성 시장, R&D , 생산의 글로벌화 기술변화 기업의 전략변화 2. What is the Technological Innovation? * 과학과 기술혁신의 관계 기술혁신: 공정, 시장, 재료, 조직 등 생산수단의 새로운 결합을 통하여 신제품이나 서..
2020.07.21