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020. 7. 21. 04:37ㆍ노트/Mot : 기술경영
1. Why the Technological Innovation is important ?
* 기업들의 생존률이 지속적으로 하락함
* 신제품 - 신사업의 중요성 :
신제품이 차지하는 비용은 평균 14%로 기업의 연간 매출에 기여한 비용이 38%를 차지
기술혁신 역량이 기업의 사업 방향또한 바꿀 수 있다.
* 기술혁신이란?
공장, 시장, 재료, 조직 등 생산수단의 새로운 결합을 통하여 신제품이나 서비스를 생산, 마케팅, 판매하는 일련의 현상.
* 기술혁신의 중요성
시장, R&D , 생산의 글로벌화 <=> 기술변화 <=> 기업의 전략변화
2. What is the Technological Innovation?
* 과학과 기술혁신의 관계
기술혁신: 공정, 시장, 재료, 조직 등 생산수단의 새로운 결합을 통하여 신제품이나 서비스를 생산, 마케팅 판매하는 일련의 현상
* 로제거의 혁신과정 모델
기초연구 > 응용연구 > 기술개발 > 투자와 학습 > 확산단계
* 기술혁신의 유형
- 점진적 혁신 vs 급진적 혁신
점진적 혁신: 좀더 나은 방향으로 개선 ex) 질레트 면도날 (면도날이 하나씩 증가)
급진적 혁신: 세상에 없던 새로운 방식, 형태로 혁신 ex) 증기기관
- 파괴적혁신 vs 비파괴적 혁신
Competence enhancing Innovation : Intel;s Oentium 4 built on the technology for Pentium
Competence destorying Innovation
- 연속적 혁신 vs 비연속적 혁신
Continuous Innovation : 게임의 룰은 바뀌지 않음
Descontinuous Innovation : 파괴적 혁신
- Modular Innovation vs Architectual Innovation
Modular Innovation : ex) SMS
Architectual Innovation : ex) 자전거의 앞바퀴가 줄어들고 체인이 들어감
- Product Innovation vs process innovation
* 서로 다른 유형의 혁신들은 다른 종류의 지식기반을 필요로 하며, 산업의 경쟁자와 소비자에게 영향을 미침
* Technology S-curve :
기술 수준의 진보들이나 기술이 시장에서 받아들여지는 수준들은 S자 모양의 곡선으로 나타남
초기 기술수준의 진보가 느린 이유: 기술의 기초가 충분히 이해되지 않았기 때문
신기술 시작 단계에서는 신기술에 투자하는 것이 기존 기술에 투자하는 것보다 더 낮은 수익률을 거둘 수 있음
* Technology Life Cycle
A-U model
Technology Cycle : 혼돈과 불확실성의 시기, 즉 기술의 배양기를 연다고 함
* Dominant design
시장 M/S 50% 이상을 차지한 기술
나타나는 이유? 학습효과 (Learning effects )
Network Externality가 존재하는 시장에서는 승자 독식이 일어날 수 있으며 고객의 Lock-in이 일어날 수 있다.
지배적 디자인은 최초로 단절적 형태로 출현했던 그 당시의 디자인과 절대 같은 형태가 아니며,
최고의 기술이 지배적 디자인이 되는 것도 아니다.
Business Ecosystem을 형성하는 것이 중요
'노트 > Mot : 기술경영' 카테고리의 다른 글
5강 | 혁신은 주먹구구식이 아니라 전략이다. (0) | 2020.07.21 |
---|---|
3강| 기술기획, 시작은 반보다 훨씬 더 많다 (0) | 2020.05.01 |
2장| 기술예측 , 정밀하게 예측하는 것 (0) | 2020.04.23 |
1장| 기술을 위한 기술이 아닌 인간을 위한 기술 (0) | 2020.04.18 |